한해가 다 간 상태에서 2022 SEO에 콘텐츠 방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제는 과거와는 완전 다르게 포탈에서 Tracking이 가능하다고 봐야합니다.
남의 Content를 이제는 Ctrl+C로 하였을 때,
과거에 문제가 되었지만,
이제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복사해서 직접 써본 글과 Ctrl + C해서 쓴 글의 HTML을 비교해보기바람!
누구는 그럴것입니다.
“에이~그게 뭔 대수라고~”
하지만 전에 SEO 글쓰기 방법을 공유했을때,
외관의 모습과 내부 HTML을 오픈했을 때 다른 모습을 공유했었습니다.
이제는 저런 패턴을 비교분석 할 수 있는 능력이 분명하게 생겼고, 그러한 부분을 적용하는 Update도 점차 나오고 있습니다.
하물며 이제는 백링크 구조를 만들 경우, Spam Link 업데이트에 대한 부분을 간과하고 지나치면 좋은 영향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2022 SEO 크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
원리를 이해 못했다면, 그냥 Nofollow로 Link Update를 하세요.
나 역시 이번에 PBN을 사용을 전면 줄였습니다.
누군가가 Code까지 똑같이 복제하였고,
이 부분이 여러사람이 쓰면서,
웹문서 배포가 양이 늘어나는 시점부터 문제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구글은 데이터 색인 후 몇주뒤부터 서서히 데이터를 적용하기 시작합니다.
이번 TEST는 거의 5개월정도 데이터를 보면서 확인을 하였는데,
구글은 패턴 분석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생각합니다.
PBN 영향 TEST
TEST 용도로 만들었던 PBN들이 거의 일정한 시기에 트래픽 CTR이 줄었고,
이 비슷한 시기에 알고리즘과 PBN을 복제해서 사용하는 시기가 거의 비슷해서 패턴 분석에 대한 부분을 조심스럽게 유추합니다.
이 시기에 구글에서 Core Update를 6월 7월 달마다 한번씩 했던일이 있었죠.아마도 이 업데이트가 현재 순위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알고리즘 업데이트로 변화시켰을 요소들
이 내용을 헷갈리면 안될 것 입니다. (2020년 과거의 글임)
구글은 이번 핵심 업데이트를 하면서 콘텐츠 재평가를 하였고, 이러한 콘텐츠 평가의 기준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준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체류율 이탈율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GA4를 기준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GA4에서는 체류율 이탈율 항목을 다른 데이터 요소로 변경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2 SEO 방향성 결론
구글은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콘텐츠에 집중하세요!!”
2022 SEO는 원리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자동화 기술을 쓰게되면,
오히려 역공 맞을 확율이 높아졌습니다.
인간이 빅데이터 정형화된 데이터 분석을 쫓아가는것은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비정형화된 데이터도 분석을 하고 있는 구글입니다.
아니 네이버 카카오도 그렇죠!!!
원리가 이해하지 못한 자동화 프로그램 사용은 오히려 악영향을 줄것입니다.
그러니 이러한 부분이 이해가 안간다면,
당분간은 콘텐츠에 집중해서 쓰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데이터 분석에 대한 부분을 이해하고,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링크 빌딩을 한다면, 새로운 방법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해 못한 상황에서 베끼지는 마세요. 오히려 서로에게 악영향을 끼치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