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가격 급등과 함께 한국 시장에서 특이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미 금에 대한 경고는 1월말 2월 초에 예상하는 전문가들이 꽤 있었다.
하지만 현재 금 품절 사태가 일어나고 있고, 김치 프리미엄 20%까지 붙었다고 한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인가?
- 국제 금 가격 상승과 더불어 국내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 특히 2025년 2월 13일에는 KRX 금 시장에서 1g당 16만1990원으로 마감하며 최고 기록을 세웠다.
- 내 금 가격이 국제 금 가격보다 약 20% 높은 ‘김치 프리미엄’이 발생하고 있다.
- 이는 국내 금 수요가 국제 시세보다 과도하게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금 사재기 현상으로 인해 시중 은행과 한국조폐공사에서 골드바 품절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 특히 소액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작은 중량의 골드바 품귀 현상이 심각하다.
- 온누리상품권을 할인 구매하여 금을 사는 재테크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 전통시장에서 상품권 결제가 가능한 귀금속 상점을 중심으로 골드바 구매가 늘고 있다.
- 금 ETF 또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며 순자산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개인 투자자들의 금 ETF 순매수액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 금값 급등의 주요 원인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지목
-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 금의 매력이 부각되고 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었기 때문
- 전문가들은 최근 금 가격 상승이 투기적 수요에 의해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경고하며, ‘김치 프리미엄’ 해소 시 국내 금 가격이 급락할 수 있음을 지적
금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것은 예상하였지만 현재 가격은 버블이낀 가격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 시장에 금이 품귀 현상이 되다보니 막지 않으면 가격은 계속 오를것이라 예상한다.
문제점은 아래와 같은데,
- 국내 금 가격이 국제 시세보다 지나치게 높아, 향후 프리미엄이 해소될 경우 국내 투자자들이 손실을 볼 위험이 큼
- 투기적 수요에 의해 가격 거품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
- 골드바 품절은 실물 금 거래 시장의 불안정을 야기
- 품절 사태가 금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전문가들은 최근 금 가격 상승이 안전 자산 수요보다는 투기적 수요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고 분석
- 이는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며,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손실 위험을 높임
- 한마디로 큰손이 들어왔다는거겠지?
-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한 금 구매가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은 상품권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난 악용 사례로 볼 수 있음
핵심은 금시장에 큰손이 들어왔고, 투기 위험이 있고, 김치프리미엄과 골드바 품절 사태로 보아 시장의 불안정성과 온누리사품권 악용 문제점이 주목되고 있다.
큰손 개입 가능성은 높고, 단기적으로 금값 상승 여지가 남아있다.
‘단기적인 추가 상승 가능성은 있지만, 높은 변동성과 하락 위험을 주의해야 하는 시점’으로 보는 것이 더욱 합리적인 해석이 아닐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