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이라는 것은 사람을 성장시키는 정말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런데 AI가 등장하고 굉장히 많은 정보가 나오게되면서 사람의 경험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이 없이는 인간의 경제적 활동에 영향을 주게되는데요.
어떻게 경험을 쌓아가야할까요?
경험이라는 것은 지식 쌓은것을 반복하면서 쌓고쌓아 익순하게 만듭니다.
이 반복에는 성공과 실패라는 데이터가 존재하다보니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내포되어있죠.
또한 정보를 거르고, 무엇이 중요한지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경험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면, 그만큼의 실패를 겪었기에 결정 비용이 적고 실수가 적거등요.
그런데 이런 경험들이 AI로 인해 몸소 겪을 수 있는 일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적 활동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경험을 쌓아야할까?
냉정하게 말하면 앞으로 ‘직접 겪는 경험’보다 ‘간접 체험을 해석하고, 요약하고, 구조화하는 경험’을 쌓는 쪽으로 전환해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하고 의사결정하는 경험을 쌓아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AI는 필수적으로 다루어야하고, AI를 이용해 과거의 경험들을 어떻게 정보를 쌓아서 모으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환경에 어떻게 대입하느냐가 관건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개인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이 현재로써는 최선이 아닐까 합니다.
- 단순히 겪는 것이 아니라, 겪고 → 기록하고→ AI로 정보 추가 → 요약해야 진짜 경험이 됨
- 타인의 경험을 해석 내재화 해야함. (단순한 독서나 콘텐츠 소비가 아님)
- 정보를 정리해서 이를 조합해 축적하는것이 핵심
AI를 이용해서 정리하고 축적 시키면서 인간은 행동하고, 거기서 나오는 실패를 다시 정리하고 축적해야합니다.
- 과거의 경험을 AI로 어떻게 정보화할 것인가?
- 그 정보를 AI를 통해 어떻게 새 상황에 실행 할 것인가?
이렇게되면 새로운 방법을 창조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기까지 굉장히 복잡하고 지금보다 더 세밀하게 분석을 해야할것입니다.
경쟁은 더욱 심해질 것이고요.
- AI를 쓰느냐 마느냐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그냥 써야합니다.
- 얼마나 정교하게 구조화하고, 얼마나 빠르게 전이하고, 얼마나 적확하게 실행하느냐가 핵심
- 미래의 경쟁은 꾸준함이 아니라 얼마나 정밀하고 세밀하게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참고로 현재 제가 하고 있는 SEO 최적화도 AI로 검색해도 방법이 나와있지 않습니다.
AI는 과거의 기록을 가지고 답변을 하고 현재는 프롬프트로 새로운 조합을 명령하지 않으면 스스로 발전하지 않기에 현재 제가하고 있는 방법은 완전히 새로운 방법이죠.
앞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세상은 AI를 활용하여 새로운 방법들을 계속 만들어 나가야하지 않나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