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기초과학의 글로벌 경쟁력은 높다. 그러나 양자기술, 차세대 원자력 등 고난도 분야의 민간 창업과 기술 상용화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한마디로 만드는 것은 기깔나게 잘만들지만, 팔지를 못한다는 것이다.
“그것도 내수 시장에서…”
관련된 기사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105443i
지금 한국의 딥테크는 “기술은 있으나 시장이 없다”는 전형적 딜레마에 빠져 있다.
기초연구의 성과가 민간 창업과 기술 사업화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단순한 자금 부족이 아니라, 시스템 구조 자체가 연구소 중심, 공공 중심이기 때문이다.
- 내수 중심 생태계, 제한된 엑시트 전략(IPO 중심), 글로벌 자본 부족.
- 미국·유럽 대비 정부 의존형 생태계에 머물러 있음.
진짜 문제이고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국에서 앞으로 살아나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 테크 시장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 문제는 크게 우리나라 전체 시장의 문제이기도 하다.
- 공급은 충분하나 수요가 없음
- 주거비 상승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 증가가 소비 여력을 압박
- 고령화와 인구구조 변화
- GDP 대비 서비스업 비중이 OECD 주요국보다 낮음.
- 고용의 비정규직화와 낮은 임금 안정성이 소비 억제 요인으로 작용
- 한국 자본주의는 ‘임금 억제+비정규직 확대’ → ‘가계부채 의존+주거 불로소득’ → ‘해외 수출역량 강화’ 순으로 내수에 구조적 제약을 만들어 왔음
한마디로 노동력 시장이 점점 안좋아지고 있는 상황에 한국 자본주의가 확대되면서 가계부채로 돈이 다 흘러감.
단순한 수요 부재가 아니다
내수 부진은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얽힌 구조적 연쇄 문제다.
가계의 경제적·심리적 부담, 노동·임금 구조, 인구 고령화, 서비스 산업의 취약성, 금융·금리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시장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
내수 위축 시대, 나는 어떻게 생존하고, 무엇을 어떻게 팔아야 잘 팔릴 수 있을까?
그에 대한 답을 아래에 담아 보았다.
보러가기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jaykee/linkjuice/contents/250611130807782v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