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그식 소비자 행동 모델(Fogg Behavior Model) 쉽게 이해하기

소비자가 구매나 신청 등의 행동을 하는 데 필요한 요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 입니다. 사람들은 3가지 요소가 충족되면 행동으로 실현이 되어진다고 합니다. 이 이론은 스탠포드 B.J. Fogg가 만들었습니다.

Fogg의 관심사는 인간 행동을 분석하는데 있었는데, 행동이 발생하는데 필요한 세가지 조건은

  1. 모티베이션 (쾌락/고통, 희망/두려움, 사회적 수용/거부)
  2. 실행 능력 (시간, 돈, 신체적 노력, 뇌 주기, 사회적 일탈, 비일상성의 영향)
  3. 트리거

가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론을 이해하고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게 되면 소비자들이 구매를 할 때 어떠한 요소가 필요한지 알수가 있습니다.

포그식 소비자 행동 모델의 세가지 요소

포그식 소비자 행동 모델은 소비자가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모티베이션, 실행 능력, 트리거의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충족되어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모티베이션(Motivation)

소비자가 행동하고 싶게 만드는 동기부여 요소

  • 행동의 원동력
  • 소비자가 행동을 하고자 하는 내적/외적 동기.
  • 감정적 요인(쾌락/고통), 미래에 대한 기대(희망/두려움), 사회적 영향력(수용/거절) 등이 영향을 미침.
  • 결과 중심적 사고를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행동의 명확한 이유와 혜택을 제시합니다.
    • 소비자가 무엇을 얻을지 명확히 알려주어야 합니다
      • “이메일 등록으로 매주 할인 쿠폰과 최신 정보를 받아보세요!”
    • 행동 동기를 강화하기 위해 실적 데이터를 공개합니다
      • “이미 90%의 고객이 만족을 표현했습니다.”

결과 중심적 사고를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행동의 명확한 이유와 혜택을 제시합니다.

  • 감정적 동기: “이 제품으로 삶의 질을 높이세요.”
  • 사회적 동기: “10만 명의 소비자가 선택한 브랜드.”
  • 실질적 동기: “등록 시 첫 구매 20% 할인 제공.”

실행 능력(Ability)

소비자가 행동하기 쉽도록 행동 장벽을 최소화

  • 행동을 쉽게 만드는 것
  • 행동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 또는 행동 장벽의 유무.
  • 시간, 비용, 노력, 복잡성 등 물리적, 정신적 부담이 적을수록 행동이 용이.
  • 복잡한 단계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쉽게 행동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 “단 1단계로 회원가입 완료!”
  • 소비자의 행동을 돕는 가이드나 툴을 제공합니다.
    • “가입 방법을 3단계로 정리한 안내서를 확인하세요.”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복잡한 프로세스를 간소화합니다.

  • 시간: “30초면 완료됩니다.”
  • 노력: “이메일 주소 하나만 입력하세요.”
  • 비용: “무료 체험 기간을 제공합니다.”

트리거(Prompt)

소비자가 행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알림이나 자극 제공

  • 행동을 유발하는 계기
  • 행동을 유도하는 자극(알림, 요청 등).
  • 트리거는 행동을 유발하는 계기로 작용하며, 적시에 제공되어야 효과적.
  • 소비자가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에 트리거를 배치합니다.
    • “홈페이지 첫 화면 상단에 가입 버튼 배치.”
  • 시간 제한과 같은 요소로 행동을 유도합니다.
    • “오늘만 50% 할인 이벤트!”

적절한 타이밍에 명확하고 직접적인 알림을 제공합니다.

  • “지금 바로 클릭하세요!”
  • “할인 혜택이 곧 종료됩니다.”
  • “가입 후 즉시 쿠폰 발송.”

포그식 소비자 행동 모델, 어떻게 설계하는게 좋을까?

데이터 중심 분석

  • 각 요소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행동 유도 효과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세요.

체계적인 실행 계획 수립

  • 세 가지 요소를 단계별로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 나누어 관리하세요.
  • 예: 마케팅 캠페인에서 모티베이션 강화 → 장벽 제거 → 트리거 제공 순으로 실행.

성과 확인 및 개선

  • ESTJ는 결과 지향적입니다. 행동 촉진 전략이 성과로 연결되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하세요.

이렇게 설계하면 소비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강력한 전략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포그 모델은 단순하지만, 그 효과는 매우 강력하며 실질적인 변화와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구글, 네이버에서 "이끼, itgit"을 찾고 SEO 관련 자료를 검색창으로 찾으세요. 왠만한 자료는 다 모았습니다.

사이트맵으로 글 찾기

내 사이트에 트래픽 늘어나지 않는다면, "제이키의 링크쥬스(구독자 전용)"를 통해 질문을 하세요. 컨설팅 비용보다 확실하게 저렴할 것이고, 신뢰를 위해 월구독을 선호합니다.

위 글 내용 중에 궁금한 내용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은 네이버 카페 질문카테고리 오픈했으니 거기에 문의해줘. (트위터 또는 쓰레드에 DM이나 문의사항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