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ifembedded , 구글 새로운 Robots Tag 어떻게 사용해야할까? | 네이버 블로그 적용될까? 2022년 1월 21일 출시

새로운 로봇 태그 Indexifembedded를 사용하면 콘텐츠가 iframe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삽입될 때 콘텐츠의 색인을 생성할지 여부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페이지에 noindex 태그가 있는 경우에도 다른 페이지의 iframe 및 유사한 HTML 태그를 통해 콘텐츠가 포함된 경우 콘텐츠가 여전히 색인화되기를 원한다고 Google에 알릴 수 있습니다.

이는 굉장히 효율적으로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단지 나쁘게 사용이 될까 살짝 걱정도 됩니다.

Google은 게시자가 콘텐츠를 삽입할 때 페이지의 콘텐츠가 색인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새로운 로봇 태그를 사용하면 이러한 희망 사항을 Google 검색에 전달하는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Indexifembedded 어떻게 사용해야할까?

indexifembedded 태그는 특히 미디어 게시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합니다. 콘텐츠가 타사 페이지에 포함될 때 인덱싱되기를 원할 수 있지만 미디어 페이지가 자체적으로 인덱싱되는 것을 반드시 원하지는 않습니다고 말했습니다.

미디어 페이지가 인덱싱되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현재 noindex 이러한 페이지에서 태그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noindex 태그는 인덱싱하는 동안 다른 페이지에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도 방지합니다.

이 기능이 재미있는 것은 네이버 블로그에 적용이 될듯해서 관심이 가네요.

Indexifembedded ,

네이버 블로그는 서버를 네이버가 관리를 하고 있어 기본적으로 “noindex,follow” 입니다.

기술 문구를 봤을때, 나의 워드프레스를 네이버 블로그에 링크 표시를 했을때, 내 noindex이지만 구글에 색인을 시키는 역활을 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색인이 되면 사실 저런 tag가 필요없을거라 생각하지만, 검색엔진은 최근 사용자 반응에 송수신을하고 검색 순위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강하여 네이버에서 트래픽이 많이 들어올 경우 유용하게 쓰이지 않을까 합니다.

일단 TEST와 반응을 좀 봐야겠지만, 단순하게 네이버만 활용되는것이 아니라 커뮤니티나 인스타그램에도 굉장히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은 index가 되지만 인스타그램은은 noimageindex 입니다.)

적용은 어떻게 해야하나?

구글 가이드에 따르면 콘텐츠가 다른 페이지에 삽입된 경우에만 콘텐츠의 색인이 생성되도록 하려면 indexifembedded 태그와 noindex를 함께 추가해야 합니다.

<meta name="googlebot" value="noindex" />
<meta name="googlebot" value="indexifembedded" />
<!-- OR -->
<meta name="googlebot" value="noindex,indexifembedded" />

또는

X-Robots-Tag: googlebot:noindex
X-Robots-Tag: googlebot:indexifembedded
...
OR
…
X-Robots-Tag: googlebot:noindex,indexifembedded

태그 지정을 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구글 검색 센터에서 확인 하실 수 있어요.

TEST 결과 : 2022년 2월 10일

색인이 되지않아서, 태그를 제거 하였습니다. 일단 조금 더 두고보면서 사용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링크쥬스

구글, 네이버에서 "이끼, itgit"을 찾고 SEO 관련 자료를 검색창으로 찾으세요. 왠만한 자료는 다 모았습니다.

사이트맵으로 글 찾기

내 사이트에 트래픽 늘어나지 않는다면, "제이키의 링크쥬스(구독자 전용)"를 통해 질문을 하세요. 컨설팅 비용보다 확실하게 저렴할 것이고, 신뢰를 위해 월구독을 선호합니다.

위 글 내용 중에 궁금한 내용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은 네이버 카페 질문카테고리 오픈했으니 거기에 문의해줘. (트위터 또는 쓰레드에 DM이나 문의사항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