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기업들은 이제 클라우드를 왜 사용하는지 하면서 파악을 한 것 같아. 하지만 완벽하게 와닿지는 않는 부분이 분명히 있을거야.
특히 서비스 종류는 무엇이 있고, 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그러니깐 어떤 장점이 있길래 사용하는지 궁금할거야.
그래서 이 부분을 간단하게 설명해줄께.
클라우드 서비스 왜 사용할까? 장점이 무엇인가?
이 부분을 먼저 설명해줄께. 그리고 다음으로 넘어갈께. 일단 장점부터 이해를 해야해. 핵심은 이거야.
“클라우드 쓰면 더 빠르고, 더 싸게, 더 안전하게 일할 수 있어. 쓸데없는 데 시간 낭비, 돈 낭비 안 하고, 중요한 데 집중할 수 있으니까 결국 경쟁력이 올라가는 거야.”
현실적으로 생각해봐. 내가 어떠한 일을 한다면, 빠르게 준비하고 빠르게 실행해야해.
그런데 클라우드가 있으면, 발주 시간 줄이고, SW 이거저것 알아볼거? 그냥 한번 붙여보고 쓰다 안맞으면 떼버리면 돼.
이렇게 시간을 줄이고, 라이센스를 한번에 샀다가 반품할 필요없이 빠르게 써보고 결정할 수 있거등.
핵심은 “경쟁에 이기기 위해서는 빠르게 준비하고 비용을 최소화해야하는 것이야.”
그런데 위 핵심은 결과치를 만들기 위한 과정에 들이는 비용을 이야기한것이지. 근데 우리는 결과치 비용. 완성된 비용을 먼저 생각하다보니 계산이 비싸보이는거지!
1. 유연성 쩔어
클라우드 서비스는 필요할 때 리소스를 바로 늘리고, 필요 없으면 줄일 수 있어. 예를 들어, 네가 웹사이트 운영하는데 갑자기 방문자가 폭주했다고 치자.
클라우드면 서버 용량을 클릭 몇 번으로 확장할 수 있어. 반대로 트래픽 줄어들면 또 줄이면 돼. 이게 직접 서버 사서 운영하는 온프레미스 방식으로는 꿈도 못 꾸는 유연성이야.
번거롭게 하드웨어 만질 필요 없이 빠르게 대응 가능하니까, 너한테 시간도 아껴주고 스트레스도 덜어줘.
2. 돈 아낄 수 있어
초기 비용이 거의 안 든다는 게 진짜 큰 메리트야. 서버 사고, 설치하고, 유지보수하려면 돈 엄청 깨지잖아. 근데 클라우드는 그런 거 없어.
특히 너가 스타트업이거나 작은 사업 한다면 이건 진짜 게임체인저야.
게다가 pay-as-you-go 방식이라 쓴 만큼만 내면 돼. 자원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돈 굴릴 수 있다는 거지. 너 주머니 사정 생각하면 이거만큼 착한 선택도 없어.
3. 보안 걱정 덜어
보안도 클라우드가 챙겨줘.
클라우드 업체들은 최신 기술이랑 전문가들로 무장하고 있어서, 너 혼자 서버 지키는 것보다 훨씬 안전해.
데이터 백업이랑 재해 복구도 쉽게 되니까, 갑자기 뭐 터져도 비즈니스 멈추지 않고 계속 굴러갈 수 있어. 너한테 중요한 데이터 날릴 일 걱정 안 해도 된다는 거야.
4. 어디서든 일 가능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클라우드에 접속할 수 있어.
원격 근무든, 다른 지역 팀원이랑 협업하든 문제없어. 구글 드라이브나 오피스 365 같은 거 써봤으면 알겠지만, 동시에 자료 수정하고 공유하는 게 얼마나 편한지.
너 혼자만 편한 게 아니라 팀 전체가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니 생산성 팍팍 올라가.
5. 최신 기술 바로 써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 같은 첨단 기술을 클라우드가 쉽게 가져다줘.
직접 개발할 필요 없이 업체가 제공하는 API나 서비스로 바로 적용 가능해.
이게 너한테 뭐가 좋냐면, 남들보다 빨리 새로운 걸 도입해서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다는 거야. 혁신하고 싶으면 클라우드가 길 열어주는 셈이지.
위에 이야기한것들. 한번에 준비하려고해봐. 견적작업하고 호스팅 공간부터 서버 관리, 개발, 보안 이런것 저런것 생각해서 얼마나 걸릴 것 같아?
그리고 그 비용과 시간을 다 합쳐봐. 경쟁자가 그 사이에 안생길것 같아?
이런 장점까지 다 계산해야해!!!
이해가 되었지? 그렇다면 다음 내용을 확인해볼께.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는 무엇이 있고, 장점은 무엇인가?
위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이 이해가 되었으면 이제는 서비스 종류를 이해하고 선택하면돼.
이 서비스 종류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거등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이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같은 인프라를 빌려주는 거야. 너가 직접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리해야 해. 예를 들면 AWS EC2나 Google Compute Engine 같은 거야.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거야. 너는 코드만 짜면 되고, 서버 설정이나 관리 같은 건 신경 안 써도 돼. Heroku나 Google App Engine이 대표적이야.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으로 바로 쓰는 거야. 설치할 필요 없이 웹에서 클릭 몇 번으로 사용 가능. 구글 드라이브, 슬랙, 오피스 365 같은 걸 생각하면 돼.
물론 요새 Daas, AIaas 기타 등등 여러가지가 나오고 있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는 위 3가지를 큰 틀로 보면돼.
10년전 서버에 운영체제 깔고 개발 SW 올리던 방식을 가상환경에 그대로 옮긴게 Iaas 방식이야.
그리고 Paas는 부분적으로 DB같은 것들 핵심 개발 환경만을 제공해주는 것이고, SaaS는 서비스를 전체 제공해주는것이지.
위 모델을 잘 생각해야하는게, PaaS나 SaaS를 만들게 되면, 이 서비스들을 클라우드에 올려서 또 팔수가 있어.
그래서 이런 모델들에 대해서 잘 생각하는 것이 좋아.
그렇다면 이 서비스들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 뭐 이건 너무나 많이 나와있고, AI에 치면 금방 나오니깐 그래도 정리해보자나면,
1. 비용 절감
- IaaS: 서버를 직접 사서 설치하고 유지보수할 필요 없어. 필요한 만큼만 빌려 쓰니까 초기 비용이 거의 안 들어가.
- PaaS: 개발 환경을 바로 제공해주니까 설정에 시간 쓰지 않아도 돼. 그만큼 인건비나 개발 비용이 줄어.
- SaaS: 소프트웨어를 구매해서 설치하는 대신 구독료만 내면 돼. 업데이트도 자동이라 유지비용도 아낄 수 있어.
2. 유연성
- IaaS: 갑자기 트래픽이 늘어나면 서버 용량을 바로 키울 수 있어. 반대로 줄어들면 비용도 줄이고, 쓸데없는 낭비가 없어.
- PaaS: 새 프로젝트 시작할 때 환경 설정에 시간 뺏길 필요 없이 바로 코딩 시작할 수 있어.
- SaaS: 인터넷만 연결되면 어디서든 쓸 수 있어. 팀원들이랑 실시간 협업도 훨씬 쉬워져.
3. 보안
클라우드 업체들은 보안에 엄청난 돈과 기술을 투자해. 너 혼자 서버 지키는 것보다 훨씬 안전하지. 게다가 데이터 백업도 자동으로 돼서 중요한 파일 날릴 걱정도 줄어.
4. 최신 기술 접근
AI나 빅데이터 같은 최신 기술을 쉽게 쓸 수 있어. 직접 개발할 필요 없이 API로 바로 연결해서 활용 가능해. 이건 경쟁에서 앞서가고 싶을 때 진짜 큰 장점이야.
장점은 이해가 되지?
그런데 이런 장점은 장점으로만 받아들일거야.
결국에는 이런 장점을 이용해서 어떻게 나한테 유리하게 하느냐인데~
결론적으로
비즈니스에서 이득과 효율에 대한 것을 따지려면 시간과 돈, 무엇보다 경쟁력일거야.
- 돈: 초기 투자비용 거의 없고, 쓴 만큼만 내니까 자금 관리하기 훨씬 편해.
- 시간: 서버 관리나 소프트웨어 설치 같은 귀찮은 일에 시간 뺏기지 않아. 진짜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지.
- 편리함: 어디서든 접속해서 일할 수 있고, 팀원이랑 자료 공유하거나 같이 작업하기도 쉬워.
- 안정성: 보안 걱정 덜고, 갑자기 서비스 멈출 위험도 거의 없어. 마음 편하게 쓸 수 있는 거지.
위에는 누구에게나 주어진 플랫폼 혜택이니 경쟁력이라고 생각이 들지 않을거야.
그런데 가장 큰 경쟁력은 무엇이냐.
바로 경쟁자에 비해서 빠르게 써보고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거지.
완성품이 나오면 바로 마케팅으로 넘기면 되는 것이기에 시간과 속도적인 면에서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실행 할 수 있는것이라고 보면돼!!!
이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비즈니스적인 목적이 아니라 다른 목적이나 방향성이 있는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
아무튼 위에 내용이 클라우드 서비스 선택에 좋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
가격이나 운영이 필요하다면, 아래 카톡 채널에서 IT 문의를 클릭 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