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알고리즘 작동 원리 – 2021년 기준

페이스북 알고리즘은 사람들이 피드를 확인할 때마다 보게 되는 게시물과 해당 게시물이 표시되는 순서를 결정합니다.

한편, ​페이스북은 단일 알고리즘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개인에게 가장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게시물이 무엇인지 예측하기 위해 구축된 “기계 학습(머신러닝) 모델 및 순위의 여러 계층”이 있음을 상기시키고 싶습니다. ”

​(과거에는 Edge rank라는 알고리즘을 사용)

페이스북 역시 빅데이터 모델로 알고리즘을 운영하고 있다고 봐야함.”

페이스북 알고리즘 관련하여

사용 가능한 모든 페이스북 게시물을 시간순으로 표시하는 대신 페이스북 알고리즘은 모든 게시물을 평가하고 점수를 매긴 다음 각 개별 사용자에 대해 관심이 있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

이 프로세스는 사용자(이 중 27억 명이 있음)가 뉴스피드를 새로 고칠 때마다 발생합니다.

[adinserter block=”16″]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사람들에게 무엇을 보여줄지(그리고 무엇을 보여주지 않을지)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모든 세부 사항을 알지는 못하지만, 모든 소셜 미디어 추천 알고리즘 과 마찬가지로 목표 중 하나가 사람들이 계속 스크롤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더 많은 광고를 볼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페이스북 알고리즘의 히스토리

페이스북 알고리즘 히스토리

2003-2009년

페이스북 뉴스피드는 2006년에 데뷔.

좋아요 버튼은 2007년에 등장.

2009년, 페이스북은 가장 많은 좋아요를 받은 게시물이 피드의 맨 위로 올라가는 정렬 순서를 처음으로 선보임.

[adinserter block=”16″]


2015년

몇 년 전인 2015년으로 넘어가면서, ​Facebook은 지나치게 홍보 콘텐츠를 많이 게시한 페이지의 순위를 낮추기 시작하면서 사용자 경험에 대해 충분히 우려하게 되었었습니다.

(즉, 광고와 동일한 콘텐츠가 포함된 유기적 게시물)

또한 2015년에 Facebook은 사용자에게 알고리즘을 직접 넛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었습니다.

“먼저 보기” 기능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피드에서 페이지 게시물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기를 원하는지 표시할 수 있었습니다.

2016년

2016년에 Facebook은 “사용 시간” 순위 신호를 추가했었습니다.

즉, 사용자가 해당 게시물을 좋아하지도, 공유하지도 않은 시간을 기준으로 게시물의 가치를 측정하기 시작했었습니다.

라이브 비디오도 일반 비디오보다 3배 더 많은 시청 시간을 벌어들이기 때문에 우선 순위가 매겨졌다고 합니다.

2017년

올해는 Facebook이 기존의 좋아요보다 반응(표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여 감정적 반응을 우선시하기 시작한 해였었습니다.

비디오에 대한 또 다른 순위 신호인 완료율도 추가되었습니다.

즉, 끝까지 시청하게 만드는 영상을 더 많은 사람에게 보여줍니다.

2018년

2018년 1월 저크버그는 Facebook 알고리즘이 이제 “대화와 의미 있는 상호 작용을 촉발하는 게시물”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발표했었습니다 .

(이는 분명히 사회 구조 전체에 대한 Facebook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에 대한 응답이었습니다.)

친구, 가족 및 Facebook 그룹의 게시물은 조직 및 기업의 유기적인 콘텐츠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관심을 끌기 위해 피드는 이제 훨씬 더 높은 가치의 참여를 얻어야 합니다

(댓글, 반응, 댓글 답글 – 게시물이 Messenger를 통해 친구에게 공유된 경우에도 포함됨).

2019년

2019년 업데이트에는 시청자가 1분 이상 시청하도록 하는 “고품질의 원본 동영상”, 특히 3분 이상 관심을 유지하는 동영상에 우선순위를 두는 내용이 포함 시킵니다.

Facebook은 또한 “친한 친구”의 게시물과 콘텐츠를 우선시하기 시작했었습니다.

즉, 사진에서 서로를 태그하거나 Messenger에서 DM을 보내는 등 사람들이 가장 많이 소통하는 사람들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adinserter block=”16″]


한편 페이스북은 두 가지 측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1. 위험한 잘못된 정보의 확산에 대한 알고리즘의 역할입니다. 2018년 알고리즘 변경은 분노와 분열, 정치적 양극화를 증가시켰고 잘못된 정보와 경계 콘텐츠를 조장했습니다.
  2. 둘째, 페이스북이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해 수집하는 개인 데이터의 기술이나 양이 논란이 되었었습니다.

2020년

Facebook은 사용자가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알고리즘에 더 나은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제어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그러나 사람들은 자신의 개인 정보에 대해 점점 더 우려하게 되었고 광고가 더욱 노출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2021년

  1. Facebook은 사용자 네트워크(일명 “인벤토리”)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게시물을 가져와 게시물 유형, 최근성 등과 같은 미리 결정된 순위 신호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점수를 매깁니다.
  2. 다음으로, 사용자의 과거 행동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참여할 가능성이 없는 게시물을 삭제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보고 싶지 않은 콘텐츠(예: 클릭베이트, 잘못된 정보 또는 좋아하지 않는다고 표시한 콘텐츠)의 순위를 낮춥니다.
  3. 그런 다음 나머지 게시물에 대해 “더 강력한 네트워크망”을 실행하여 개인화된 방식으로 점수를 매깁니다. 가치 순으로 순위를 매겼습니다.
  4.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스크롤 할 흥미로운 다양한 게시물을 가질 수 있도록 미디어 유형 및 소스의 멋진 단면을 재정렬하여 순위를 매겼습니다.

Facebook은 페이스북 알고리즘을 위해 수천 개의 순위 신호를 사용한다고 말합니다.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속도부터 좋아요 또는 댓글로 참여하는 것을 선호하는지 여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순위 요소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adinserter block=”16″]

….

고려해야 할 4가지 페이스북 알고리즘 순위 신호

페이스북 알고리즘 랭킹 시그널

1.관계 :

사용자가 자주 참여하는 사람, 비즈니스, 뉴스 소스 또는 공인의 게시물인가? (즉, 메시지, 태그, 참여, 팔로우 등)​

2.콘텐츠 유형 :

게시물에 있는 미디어 유형은 무엇이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디어 유형은 무엇인가? (즉, 비디오, 사진, 링크 등)​

3. 인기도 :

이미 게시물을 본 사람들의 반응은 어떤가?
팔로워들의 공유하고, 댓글을 달고, 무시하고, 그 감정표현을 달고있나?

4. 최근성 :

게시물이 얼마나 자주발행하나?
최신 게시물은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됨.

페이스북 품질 순위 정보 : https://www.facebook.com/business/help/303639570334185


링크쥬스 블로그

위 글 내용 중에 궁금한 내용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은 문의해주세요. (인스타그램 또는 쓰레드에 DM이나 문의사항을 남겨주세요. 연세가 있으신 분들은 유선으로도 가능합니다.)

  • 이 블로그의 목적은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 반드시 최신 정보를 보세요. 기술이라는것은 몇개월만 지나도 안먹힐 수 있습니다. 그만큼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SEO 최적화된 사이트 구조 설정을 원하신다면, 아래 문의 톡을 넣어주세요. 참고로 워드프레스일 경우에는 직접 설정이 가능하고, 제로보드나 그누보드일 경우에는 협의가 필요합니다. 아래 "제이키 문의 톡"으로 상담 요청해주세요.

소통창URL
제이키 문의 톡http://pf.kakao.com/_xgcqxjs/chat
쓰레드https://www.threads.net/@jaykee_lj
인스타그램https://www.instagram.com/jaykee_lj/
제이키 서비스 소개https://itgit.co.kr/2025servicejaykee/
SW 문의 톡http://pf.kakao.com/_xfERnG/chat
IT 문의 톡http://pf.kakao.com/_ClHxjG/chat

최신글

위 글은 Jaykee 본인의 생각과 AI로 정리된 글이 짬뽕되어있습니다. 참고로 위 글을 쓴 이유는 본질과 관련 내용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틈새를 파고들어 나에게 유리한 기회를 맞이하기위한 글이라고 생각해주세요.

세상은 그만큼 복잡해지고, 세밀해졌습니다. 자동화로 생각이라는 것을 점점 하기 싫어지는 세상입니다.

그만큼 현재 세상에 일어나는 일들이 왜, 어떻게, 무엇을 변화시키는지에 대해 유심히 살펴보고 "실행"하지 않는다면 기회는 나에게 다가오지 않을것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