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사이트가 안보일 때 삭제 기반 순위 내리기 시스템이라는게 있는데 확인해보는게 좋아. 이게 무엇인지 설명해줄께. 해당하는지 한번 확인해봐.
■ 삭제 기반 순위 내리기 시스템
이게 무엇이냐면,
이건 구글이 검색 결과에서 “문제 있는 사이트”를 잘 안 보이게 만드는 방법이야.
어떤 사이트가 법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개인 정보를 엉터리로 다루는 콘텐츠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 구글은 그 사이트 전체의 순위를 내려버려.
그러니까 검색할 때 상단에 뜨지 않고 밑으로 쑥 내려가는 거지.
이건 사용자한테 더 안전하고 믿을 만한 검색 결과를 구글은 보여주려는거야.
■ 어떻게 작동하냐고?
두가지 경우로 작동이 되는 시스템이야.
구글은 사람들이 검색할 때 안전하고 질 좋은 콘텐츠를 보길 원해. 그래서 사용자 보호에 집중하고 있어.
그래서 문제가 많은 사이트를 검색 결과에서 뒤로 밀어내는 거야.
1. 법적 삭제 요청이 많은 경우
저작권 침해, 명예 훼손, 위조품 판매 신고, 법원 명령 같은 것들로 신청해서 구글에 올라갔을 때 문제가 됨. (DMCA 같은거~)
이런 신고가 한 사이트에 쌓이면, 구글은 “여기 문제 많네?” 하고 그 사이트 전체 콘텐츠의 순위를 내려버려.
특히 아동 성적 학대 콘텐츠(CSAM) 같은 심각한 경우는 더 강하게 조치해.
그런 콘텐츠가 발견되면 바로 삭제하고, 그게 많은 사이트는 아예 검색 결과에서 밀려나게 돼.
이것은 구글이 사용자가 불법적이거나 해로운 콘텐츠를 덜 보게 하려는 거야.
2. 개인 정보 삭제 요청이 많은 경우
신상 털기, 동의 없는 선정적인 사진, 가짜 선정적 콘텐츠 같은 것들을 골라서 삭제해.
이런 콘텐츠가 많은 사이트는 역시 순위가 내려가.
특히 돈을 요구하면서 “삭제해줄게” 하는 식의 사이트는 더 심하게 강등돼.
구글은 이런 행동 패턴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찾아내서 똑같이 조치해.
구글은 개인 정보를 함부로 다루는 사이트를 엄청 싫어하거등
■ 근데 이 시스템이 완벽한 것은 아냐!
만약 어떤 사이트가 잘못된 신고(가짜 신고)를 많이 받으면, 실제로는 문제없는데도 순위가 내려갈 수 있어.
해외 커뮤를 보면 종종 이런 이야기가 있기도해.
참고로 이런 방식으로 해외에서 경쟁 사이트를 공격하기도 한다고 하더라고. 방법은 공유안할께. 이런 사례가 있다는거지!
이게 미치는게 잘못한게 없는데 이런 이상한 방법들 때문에 방법을 못찾고 그냥 도메인이 버려지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고.
아무튼 이러한 부분은 문제이기는해.
DMCA 메일을 받게되면 여기를 통해서 꼭 반론 통지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