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는 글이 아니라 “사용자 흐름”이야. 긴 글로 쓰는데도 노출이 안되는 이유를 알려줄께.
2022년 이후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아주 적나라하게 구글에 도입이 되었는데, 이것이 진짜 골때리는게 우리가 알던 SEO 패러다임을 다 바꿔보리는 요소가 되버렸어.
검색 순위 1등에 있었는데 갑자기 다 떨어진 사람들 있지?
솔직히 글자수가 겁나 중요할 것같지?
개인적으로 글자수 400자도 안되는거로 1등에 올려본게 한두번이 아니야. (백링크 사용한 것도 아니야.)
중요한 것은 알고리즘을 잘 이해하고 이것을 응용하면 되는건데, 사람은 이미 많이 알려진 정보를 더욱 받아들이기때문에 이런 사실적인 진실에 대한 정보를 잘 받아들이기가 힘들어.
아무튼 노출이 안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사용자 경험”이라는 새로운 기준 때문이야.
◆ 글을 길게 쓴다고 순위가 오르지 않는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긴 글이 SEO에 좋다고 믿고 있어.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
사용자가 긴 글을 10초만 보고 나가면, Google은 이렇게 판단한다.
“이 콘텐츠는 별로 유용하지 않네.”
길이보다 중요한 건 ‘얼마나 읽히고, 얼마나 반응하느냐’가 중요한거야
◆ 체류 시간도 ‘비율’이 중요해
Google은 이제 절대적인 체류 시간이 아니라, “글 길이에 비례한 체류 시간”을 본다고 생각해야해.
예를 들어 5,000자짜리 글을 12초만 읽고 나가면 ‘쓸모없는 콘텐츠’로 간주될 수 있거등.
이게 원인이야.
글 길이는 겁나게 오래 썼는데 아는 내용이면, 이탈이 그만큼 빨라져. 그래서 쓸모없는 콘텐츠로 간주되는거지.
그렇다면 짧은게 좋고 평균 체류시간이 좋냐?
절대 아니~~
여기서 경쟁 시스템이 들어오게되면 키워드 별 비슷한 주제 글이 있을 경우 글자수를 비교하고 체류시간을 비교할거야.
그렇기때문에 “독창적 문장”이 이제 갈수록 중요해지는거야!
이게 체류 시간을 늘려주는 키포인트거등.
그래서 어떻게 써야 하는가?
- 자세한 설명은 내부 링크로 분산
- 첫 문단에서 요약 + CTA 유도 문장 삽입
- 글을 쪼개고 트리 구조로 설계
- 중복 없는 콘텐츠 흐름 구성
- 모바일 기준 UX 최적화
나는 위 5가지를 추천해~ 어려운거 아니니깐 한번 잘 고민해봐~^^
궁금한 것은 아래에 댓글을 남겨줘.
Threads에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