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유독 클라우드플레어 사용을 꺼려합니다. 하지만 클라우드플레어 기능 중 무시못한 기능들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클라우드플레어를 제대로 설정한다면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먼저 왜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 사용을 꺼려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 한국에서 클라우드플레어 사용을 꺼려하는 이유
1. 한국 내 서버 연결 성능 문제
망 사용료 이슈: 한국은 통신사(ISP)가 해외 트래픽에 대해 매우 높은 접속료를 요구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Cloudflare Free 플랜은 한국 PoP(접속 지점)를 우회하고 일본/홍콩/미국으로 우선 라우팅합니다.
- Cloudflare는 Enterprise 및 일부 유료 플랜에서만 한국 서버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게 해주며, 무료 사용자에겐 우선 순위가 낮습니다.
- XETOWN, 뽐뿌, 클리앙 등 국내 커뮤니티에서 “한국에서 클플 Free 플랜 쓰면 일본으로 우회된다”는 피드백이 빈번합니다.
이 부분은 로또입니다. 인천이나 서울 DC에 공간이 남으면 한국에서 우회하기도 합니다. 속도적인 측면에서 일본가지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2. 무료 플랜의 기능 제한
- 캐싱 정책 제한: Free 플랜에서는
Cache Rules
,Page Rules
등 일부 고급 기능은 제한됨- 이미지 최적화 기능 없음:
Polish
,Mirage
,Image Resizing
등은 Pro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 업로드 파일 제한: Free 플랜에서는 100MB 이상 업로드 차단 (Enterprise: 500MB+ 가능)
이 부분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잘 활용하면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우려
- Cloudflare는 MITM(중간자) 역할을 합니다. TLS 인증서도 클플이 발급하여 사용자와 서버 사이에 위치합니다.
- 이는 구조적으로 Cloudflare가 트래픽 내용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음을 의미하며, 이론적 감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Cloudflare는 미국 기업으로서 미국 법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제공 의무가 있습니다.
- 실제로 Cloudflare 로그/캐시 데이터를 법 집행기관에 제공한 사례도 있습니다.
실제 사례가 있으며, 보안에 민감한 서비스(특히 금융/의료)는 이를 이유로 클플 사용을 권하지 않습니다.
4. 한국 인터넷 환경과의 부조화
- 한국은 ISP 간 Peering이 매우 잘 되어 있어 기본적인 인터넷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 이 때문에 Cloudflare로 오히려 라우팅이 비효율적으로 바뀌는 사례가 발생합니다.
- 특히 클라우드플레어 접속 후 원 서버 위치가 일본, 미국 등으로 라우팅될 경우 오히려 지연이 증가합니다.
- 사용자 테스트 결과에서 TTFB(Time to First Byte)가 클플 사용 후 증가한 사례도 다수 존재합니다.
성능 저하 가능성은 한국의 인터넷 특성과 클플 라우팅 구조를 고려했을 때 충분히 타당하지만 해외 서버를 사용하거나 보안에 이슈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어떠한 것을 우선순위 목표로 하였느냐에 따라 완전히 설정 자체가 틀려집니다.
그리고 TTFB가 0.3초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이 부분 역시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플레어가 SEO에 미치는 영향 정리
긍정적인 영향 (장점)
항목 | 설명 | 전략적 사용 |
---|---|---|
속도 향상 | 정적 리소스를 CDN에서 제공 → 페이지 로딩 속도 개선 | Core Web Vitals에 긍정적 영향 → Google 순위 요소 |
DDoS 차단 | 서버 과부하 방지 → 사이트 다운 시간 감소 | 크롤러 접근 안정성 확보, 인덱싱 누락 방지 |
SSL 기본 제공 | HTTPS로 자동 전환 → 보안성 향상 | Google은 HTTPS 사용을 순위 신호로 사용 |
봇 차단 | 악성 트래픽 필터링 → 서버 자원 보호 | 좋은 크롤러에 자원 집중 → SEO 최적화에 간접적 도움 |
부정적인 영향 (단점)
항목 | 설명 | SEO 생존 위협 가능성 |
---|---|---|
한국 접속 지연 | 한국 사용자가 일본/홍콩을 우회 → 사이트 속도 저하 | TTFB(Time To First Byte) 증가 → Google PageSpeed에 악영향 |
캐싱 문제 | 설정이 잘못되면 검색 엔진에 오래된 페이지 노출 | 캐시된 오래된 콘텐츠로 인해 인덱싱 오류 발생 가능 |
JS 차단 가능성 | JS 보호 정책으로 일부 크롤러가 JS 실행 실패 | JS 기반 콘텐츠 (SPA 등) 렌더링 실패 시 SEO 타격 |
IP 기반 차단 문제 | Cloudflare는 모든 유저가 동일한 IP로 접속 | 일부 SEO 툴/크롤러에서 정상적인 트래픽으로 인식 못 할 수 있음 |
◆ 클라우드플레어를 SEO 좋은 영향을 주도록 설정하는 방법
핵심은 “접근성”과 “최신성”에 있습니다.
“빠르고 안정적인 콘텐츠 제공자”로 작동하면 SEO에 도움이 되고, 설정을 제대로 하여 Bot이 콘텐츠를 제대로 읽게끔하면 됩니다.
한국 시장을 대상으로 한다면 Cloudflare Free 플랜은 SEO에는 좋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 DDOS 방어
- HTTPS 설정
- Bandwidth(대역폭 사용량) 줄이기
- 최적화 설정
- 무료 CDN 사용
과 같은 유용한 기능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한국 내 서버 연결 성능 문제
- 무료 플랜의 기능 제한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우려
- 한국 인터넷 환경과의 부조화
위 4가지를 살펴보면 속도적인 부분과 보안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보안적인 부분은 금융이나 의료 시스템에서 사용하지않으면 되고, (사실 이런 산업군은 동적 시스템이 많아서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죠)
속도적인 부분은 설정으로 어느정도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하는것이 초큼 더 빠르기는 합니다.)
그에 비해서 무료로 쓰기에 너무 좋은 기능들이 있어 상황을 잘 이해하고 쓴다면 훨씬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부분은 아래 문의를 주시거나,
카페에 댓글을 남겨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