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에서 믿을 만한 정보가 있는 것인가?? 대부분 내 말이 맏다고 이야기하면서 읽어보면 강의로 보라고 하는데 무엇이 믿을 만한 정보일까요??
링크쥬스 역시 최근 무료에서 유료로 변화를 하였는데, 이런 신뢰성이 떨어지면서 유입 트래픽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다른 수익원이 더 중요하기때문인데요.)
- 링크쥬스 프리미엄 관련하여 잠깐 소개를 하자면,
- 수익보다는 트래픽 개선이 목표이고,
- 트래픽 개선을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방향성을 정해주고,
- 개인적인 생각보다는 객관적 분석을 통해 정보를 공유합니다.
- 맞습니다. 저는 이러한 정보를 팔고 있고, 누구나 공부하면 자기가 스스로 알 수 있는 내용이기에 적은 비용으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 어떠한 가치가 있느냐? 링크쥬스의 정보는 시간을 줄여주기때문이고, 조금만 더 이해를 하신다면 돈이 되는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에서 저 역시 그냥 강의팔의라고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뭐~이해는 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쓴 이유가 있는데요. 온라인 상에서 신뢰라는 것이 생기길 바라는 마음에 써봅니다.
어떠한 정보가 온라인에서 믿을 만한 정보인가?
적어도 이러한 부분을 봐야한다.
- 검증이 되어야 한다.
- 검증할 만한 정보가 온라인에 있어야 한다.
개인적으로 과거에 트래픽을 올린 정보는 공유하지 않습니다. 알고리즘이 새로 나오게되면, 과거에 이미 개설된 사이트는 서서히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새로 개설된 사이트는 100% 영향을 받게 되죠. 그래서 이미 만들어놓은 사이트 중 높은 트래픽을 예시로 보여주는 것은 이미 올린 사이트이기때문에 지금의 알고리즘 적용방법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그럼 어떤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보아야하는가?
핵심코어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보시면 좋습니다. 그 때 이후 만든 사이트의 트래픽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 현재 알고리즘 적용에 대한 TEST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검증할 만한 정보가 있어야한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온라인은 IT의 한 부분입니다. 검색 순위 관련해서 주관적으로 검색엔진이 글을 판단하여 순위를 올리는것이 아닙니다. 나름대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반응이 좋은 글들이 순위에 오르는 것입니다.
해외에는 이런 검색 순위에 작동하는 알고리즘들이 논문이나 전문 사이트를 찾아보면, 몇가지 알고리즘들이 조합을 하여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자료와 부스러기 흔적들이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기술적으로 가능성이 있다면, 이러한 정보는 거의 80%이상 확율로 맞습니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해외 논문이나 전문 사이트에 이런 부스러기 정보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왜 자꾸 다른 정보에 눈이 들어오는가?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사람들이 익숙한 평가 기준이 기술적인 근거보다는 수익적인 근거가 앞서기 때문입니다.
수익은 모든 과정의 결과라고 생각하기때문인데요.
온라인에서의 이런 결과는 트래픽으로 봐야하고, 수익 금액이 아니라 목표 트래픽의 CTR을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CTR이 높다라는 것은 두가지 예상을 할 수가 있습니다.
- 사람들에게 노출이 잘되고 있다거나,
- 타이틀 제목이 사람들이 클릭하고 싶은 제목이던가.
반면 상위 노출인데, CTR이 낮다라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노출이 잘 안되고 있거나, 타이틀 제목이 사람들이 클릭하고 싶어하지 않는 제목이기때문입니다.
첫번째는 최근 구글 검색 알고리즘이 업데이트되면서 더 심해지고 있기때문에 시간이 해결해줍니다. 하지만 후자의 문제 중 노출과 관계없이 게재순위가 3위 안에 있는데 CTR이 30% 이상이 나오지 않는다면 앞으로 제목에 신경을 써줘야할 것입니다.
- 제목을 수정하게되면 색인에 문제가 되기때문에 스니펫을 이용하거나 내부 링크를 이용하여 다른 제목으로 글을 쓰시고 노출을 시켜 클릭 유도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무튼 위에 CTR을 보았을 때 노출수와의 관계성 그리고 게재 순위와 실제 찾아봤을 때 없으면 서치콘솔의 신뢰를 못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고요.
그렇다보니 가장 간단하게 살펴볼 수 있는것이 수익이기때문에 보기쉬운 데이터 자료인 수익을 기준으로 보게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최근 키워드 소개를 해주는 곳도 꽤 있는데 말이죠.
개인적으로 가장 고민하는 것인데~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키워드 검색량이 우리가 생각하는 검색량으로 생각하면 안되지 않나 합니다.
그 이유는 SNS나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이 사람들의 익숙해짐으로써, 이 알고리즘에서 나왔던 소재의 키워드를 검색하기 위해서 찾아보시는 분들도 꽤 늘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검색 순위에 오르기위해서는 초기 외부트래픽이 필요한데, 당연히 유튜브나 SNS에 달린 referral 링크들이 순위에 뜰 확율이 이나 기회가 더 높겠죠?
그렇다보니 검색 순위에 대한 페러다임이 점점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외부 링크에서 트래픽을 받는 꾸준한 작업을 하신 분들은 계속적으로 기회를 얻으실 것이고, 그렇지 않고, 글만쓰고 기다리시는 분들은 이러한 기회 요소가 갈 수록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시즌에 따라 키워드를 알려주는 곳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CTR은 안오르고, 운이 나쁠 경우에는 노출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이유가 기회요소를 높일 수 있는 부분으로 다가가야하는데, 단순 키워드로 글을 쓰라고 하는것은 솔직히 가능성이 갈수록 낮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결론
이러한 정보를 받아들일 때 특정 목표를 트래픽을 받을 수 있는 노출, CTR을 중심으로 봐야하는데 수익을 기준으로 보다보니 목표치에 대한 방향성이 틀려지기때문입니다.
그렇다보니,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고, 객관적 목표를 수립할 수 있는 타켓을 설정하고 실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내 욕심을 채워줄 수 있는 꿈의 숫자를 목표로 하면 안되고, 객관적이고 현실적으로 내가 이룰 수 있는 목표를 잡고, 검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검증된 정보에는 가치가 생기고, 가치가 높으면 높은 가격, 낮게되면 낮은 가격이 형성하게 됩니다.
도움이 필요하다면 링크쥬스 프리미엄 페이지에 댓글을 남기시면 답을 드립니다.